본문 바로가기
중국생활 꿀정보

중국인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총정리!

by jusi 2025. 4. 14.

중국인 무비자 입국 국가

 

목차

  1. 중국 여권 파워, 어느 정도일까?
  2. 무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 리스트
  3. 도착 비자·전자 비자 국가
  4. 중국인이 입국할 수 없는 나라?
  5. 마무리: 여행 전 반드시 확인할 것
  6. 관련 태그

1. 중국 여권 파워, 어느 정도일까?

2024년 기준, 중국 여권은 전 세계 여권 랭킹에서 70위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는 약 80개국.
이는 한국(190여 개국 무비자 가능)에 비하면 낮지만, 최근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중국 정부의 외교력 확대와 비자 상호 면제 협정 체결 등이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2. 무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 리스트

2024년부터 중국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국가들 중 주목할 만한 나라와 체류 가능 일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                                                                                                                        체류 가능 기간

 

태국 30일
말레이시아 30일
싱가포르 30일
몰디브 30일
세르비아 30일
벨라루스 30일
아르헨티나 90일
모로코 90일
사모아 60일
튀니지 90일
바누아투 30일
그레나다 30일
바하마 30일

이 외에도 인도네시아, 에콰도르, 알바니아 등 일부 국가는 특정 시즌 또는 조건부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합니다.
최근에는 조지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팔라우 등도 주목받고 있어요.


3. 도착 비자·전자 비자 허용 국가

비자 없이 출국이 가능하지만, 현지 공항에서 도착비자(Visa on Arrival, VOA) 또는
사전 신청 전자 비자(eVisa) 를 통해 입국할 수 있는 나라들도 있습니다.

  • VOA 가능국: 캄보디아, 라오스, 이집트, 네팔, 짐바브웨, 탄자니아 등
  • eVisa 가능국: 터키, 인도, 러시아, 베트남, 케냐 등

중요한 점은 도착비자도 '비자 면제'가 아니라는 것!
준비물과 수수료, 입국 조건을 사전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4. 중국인이 입국할 수 없는 나라?

정치적 이유 또는 외교 단절 상태로 인해 중국 여권으로는 입국이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인 국가도 존재합니다.

예시:

  • 북한: 일반 여행객은 입국 불가
  • 이스라엘: 종교·정치적 이유로 비자 발급 지연 사례 있음
  • 미국: 반드시 비자 발급 필요 (최근 인터뷰 조건 완화 추세)

**유럽권 대부분 국가(셴겐 지역 포함)**은 현재까지도 중국 여권 소지자는 비자 필수입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EU와 중국 간 무비자 협정 논의도 이어지고 있어 변화가 기대됩니다.


5. 마무리: 여행 전 반드시 확인할 것

비자 정책은 외교 상황, 국내 정책 변화, 팬데믹 변수에 따라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반드시 다음을 확인하세요:

  • 해당 국가 대사관 또는 외교부 공지사항
  • 최근 입국자 후기 및 출입국 조건
  • 여권 유효기간 (최소 6개월 이상 권장)
  • 항공권, 호텔 예약증, 귀국 증빙 서류 필요 여부

특히 중국인은 비자 면제가 된 국가라도 입국 거부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왕복 항공권·현지 체류 계획서는 꼭 챙기는 것이 안전합니다.